“세상의 순간들을 포착하고 공유한다”
무료 이미지 및 동영상 공유 소프트웨어이자,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 SNS인 인스타그램의 슬로건이다. 2010년 케빈 시스트롬(Kevin Systrom)과 마이크 크리거(Mike Krieger)가 개발한 이래로 급속도로 인기를 얻어 2012년 4월에는 사용자가 1억 명을 돌파하였으며, 페이스북에 10억 달러에 인수되었다. 사용자의 수는 점점 더 증가하여, 현재 약 10억 명에 달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스타그램이 무엇이고, 이것이 어떤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 한국 시장에서는 어떻게 성장했는지, 그리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다.
Ⅰ. 인스타그램은 무엇인가?
1. 인스타그램이란?
즉석에서 사진을 찍고 확인할 수 있는 ‘인스턴트(instant)’와 전보를 보낸다는 의미의 ‘텔레그램(telegram)’을 합쳐서 만들어진 이름이다. 이 이름에 걸맞게 사진을 찍어서 다양한 필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업로드한 사진과 게시글을 팔로워와 공유하여 댓글과 좋아요를 남길 수 있다.
이전에는 사진이 정사각형으로만 업로드 될 수 있었지만, 현재는 모바일 환경에 적합하게 가로·세로의 비율을 바꿀 수 있다. 인스타그램은 사용자들의 소통이 사진에서 시작되며 그들이 게시글로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사진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래서 인스타그램은 다른 SNS보다 다양하고 원활한 사진 편집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2. 인스타그램의 영향력
인스타그램이 미치는 영향력은 사용자들의 인스타그램 활용도를 통해 알 수 있다. 다음은 비즈니스를 위한 소셜 미디어 분석 도구인 Hootsuite의 <2020년 상위 10개의 인스타그램 통계> 중 일부이다.
또 주목할 점은, 인스타그램이라는 단어에서 다양한 파생 용어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용어는 ‘인스타그래머블’이다. 인스타그램(instagram)과 '할 수 있는'이라는 뜻의 영단어 'able'을 합쳐져 만들어졌으며, '인스타그램에 올릴 만한' 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SNS에 자신을 과시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이것은 인스타그램에 올릴 만한 하다’라고 말할 때 사용되며, 기업들의 마케팅 지표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인스타그램은 수많은 사용자를 보유하며 이들은 꾸준히 인스타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이 현황이 사회에 미친 영향은 다양한 파생용어들이 만들어지는 것이며, 일반 사용자와 비즈니스 계정들이 공존하는 플랫폼을 형성하고 있다.
3. 인스타그램의 비즈니스 역량
위의 인스타그램 통계에서 살펴보았듯이, 인스타그램은 단순히 ‘사용자들의 소통 공간’을 넘어서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뛰어난 잠재력을 보인다.
2019년 5월 7일 서울 반포 한강공원 내 세빛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스타그램은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의 국내 현황을 발표했다. 인스타그램은 국내 이용자 3명 중 1명이 인스타그램에서 상품 정보를 보고 실제로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 결과를 밝혔다.
위 원형 그래프를 통해, 인스타그램은 고객들이 상품을 인식하고 관심을 가져서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하는데 탁월한 플랫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미국 경제전문 언론사인 블룸버그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의 2019년 광고 매출(200억 달러, 한화 약 23조 6400억 원)은 유튜브(151억 5000만 달러, 약 18조 원)를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모회사 페이스북 매출의 4분의 1을 웃도는 수준이다.
페이스북은 인수 후 인스타그램의 매출을 별도로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추정 자료를 통해 인스타그램이 광고 매출에 대해 뛰어난 수익성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Ⅱ. 한국 시장에서의 인스타그램 성장요인
인스타그램은 사용자들이 일상의 순간을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4년에 시작한 페이스북, 2006년에 시작한 트위터 등 다른 SNS에 비해 인스타그램은 2010년 다소 늦은 출발을 했다. 한국 시장에서도 페이스북은 2006년, 트위터는 2011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것에 반해 인스타그램은 2012년 후발주자로 서비스를 시작하며 시장에 뛰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스타그램은 현재 사진 및 동영상 SNS 중에서 독보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국내 SNS 이용률이 감소하는 와중에 유일하게 인스타그램의 이용률만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인스타그램은 국내 SNS 이용률 증가 최고를 기록하며 독보적인 상승세를 누리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1. 사람들의 과시욕 자극
앨라배마대학교 파비카 셸던 미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다른 사람들로부터 부러움을 받고 싶어하는 심리가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주된 요인 중 하나”라고 밝혀졌다. 인스타그램에는 일상부터 맛집, 여행, 취미 등 사용자의 다양한 활동이 담긴 사진이 올라온다. 이는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과 동시에 과시하는 방법이 된다. 사용자는 인스타그램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자신의 멋진 경험들을 예쁘게 다듬어 사진으로 올린 다음 ‘좋아요’와 ‘댓글’과 같은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기다린다. 이와 같이 인스타그램은 사용자들의 과시욕을 귀찮은 말이나 복잡한 조건 없이 간단하게 사진으로만 충족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인스타그램은 사람들의 과시욕을 자극시킴으로써 인스타그램을 통해 자신의 멋진 생활들을 공유 및 과시하고자 하는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였다. 또한 인스타그램의 팔로워 수, 좋아요 개수 또한 그들의 인기 지표가 되어 과시욕을 자극함으로써 사용자들은 많은 팔로워 수, 종아요 개수를 얻기 위해 많은 게시물들을 올리고 다른 사용자들에게 댓글을 남기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인스타그램은 최근 SNS의 중요한 요소였던 ‘좋아요’의 수를 게시글 작성자 이외의 사용자들이 확인하지 못하도록 체제를 변경하고 있다. 지난 2019년 11월, 인스타그램은 한국을 비롯한 미국, 독일, 인도네시아 등 5개국의 일부 계정에 ‘좋아요 숨기기’ 기능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기로 발표했다. 이로써 지난 5월 캐나다를 시작으로 총 12개국에서 이 기능이 운영되고 있다. 인스타그램은 “좋아요 수가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들이 타인의 반응에 대한 부담을 덜고 보다 자신 있게 게시물을 올릴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무작위 선정된 소수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적용되며, 테스트 결과에 따라 추후 국내 사용자 전체로 확대될 계획이다.
2. 사진 공유에 집중
인스타그램은 온라인 사진 공유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로 사진 공유를 목적으로 한다. 사진이 있어야만 포스팅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긴 글이나 조건 없이 사진만 있으면 포스팅이 가능하다. 사진만 있다면 포스팅이 가능한 단순하고 쉬운 소셜 기능은 특히 젊은 사용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갔다.
또한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하는 사진을 페이스북, 텀블러, 웨이보 등 타 SNS에도 연동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쉬운 공유 기능을 갖추었다. 게시물은 사용자들이 삭제하지 않는다면 지속이 유지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보통 특별한 사진 위주로 업로드를 한다. 그래서 인스타그램은 사용자들이 부담을 덜고 더 자유롭게, 더 자주 사진을 공유할 수 있도록 스토리 기능을 추가했다. 또한 다양한 필터 및 수정이 가능한 사진 편집 기능 등을 더하여, 사용자들의 게시글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사진 공유라는 본 목적에 집중하고 있다.
3. 기업의 마케팅 공간으로 활용
인스타그램은 개인 사용자들 뿐만 아니라 기업의 마음까지도 사로잡았다. 사진이 중요한 요소인 SNS인 만큼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업들이 인스타그램을 마케팅 채널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맞춰 인스타그램은 기업들이 쉽고 편하게 마케팅 할 수 있는 환경 및 시스템을 갖추었다. 비즈니스 프로필(기업용 계정)이라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무료로 비즈니스 채널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비즈니스 프로필로 전환하는 경우, 팔로워의 정보 등이 제공되어 기업은 이를 바탕으로 타깃 고객층을 정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홍보 게시물에 대한 반응과 노출, 도달, 참여, 제품 조회 수 등의 정보가 제공되어 마케팅 효과를 확인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필에 기업의 이메일 및 전화번호 추가가 가능하여 사용자들은 인스타그램의 기업 프로필을 통해 쉽게 연락을 할 수 있으며, DM기능을 활용하여 인스타그램을 고객과의 직접적인 소통 채널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인스타그램은 뚜렷한 목적 및 기능, 직관적인 아이콘, 단순 명료한 UI, 디자인 등 앱 마켓이 선호하는 요소들을 충실히 갖추어 출시와 동시에 어플들의 메인 피처드 영역을 독점하는 등 애플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등의 앱 마켓의 적극적인 광고가 있었다. 또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가수 저스틴 비버의 사진 업로드를 통해 대중들의 폭발적인 관심 및 인스타그램 사용 시작을 유발시키며 인스타그램 서비스 시작 초기에 홍보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Ⅲ. 인스타그램의 특징
다음으로 인스타그램의 9가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다.
1. 인스타그래머와 인플루언서
유튜브에게 유튜버가 있다면 일반인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팔로워를 자랑하는 소위 말하는 인스타스타, 인플루언서들이 존재한다. 자신의 관심사와 비슷한 계정을 손쉽게 검색하고 팔로우가 가능한 인스타그램에서는 연예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받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인플루언서들의 그 영향력으로 기업과 협업하여 공동구매를 진행하거나 기업의 물품이나 서비스등을 홍보하고 사례를 받는 경우도 다분하다.
2. 20,30대 여성의 높은 이용률
인스타그램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대로는 2030 세대의 이용자가 많다. 이 연령대는 소비에서 실제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때문에 이를 타켓으로 진행하는 산업에서는 인스타그램을 홍보적 요소로 활용한다.
3. 비즈니스 채널로의 강화
인스타그램에서 비즈니스 채널로 변경을 한다면 기업용 프로필, 웹사이트 링크추가, 연락하기 버튼 등을 통해 더 쉽게 구매유도가 가능한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별 인사이트 확인이 가능해 트렌드를 즉시 파악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인스타그램은 점점 비즈니스 영역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제 더 많은 부분을 반전시키고 있다.
4. 높은 참여율
사용자들의 컨텐츠 참여율이 높다. 즉, 팔로워 수에 비해 좋아요나 댓글로 사용자들이 소통하는 정도가 높다. 이노버즈미디어가 발표한 인스타그램 참여율은 4.21%, 페이스북 0.07%, 트위터 0.03%로 인스타그램이 1위를 차지하였다.
5. 검색이 편리하고 트렌드 읽기가 용이한 해시태그
검색 관련 인기 순위 위주로 보여주는 창/ 계정 검색 가능한 창/ 해시태그 검색 가능한 창/ 장소태그 검색 가능한 창으로 나누어져 원하는 정보를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인스타그램에서 궁금한 것을 찾을 때 우리는 해시태그를 이용한다. 관심있는 브랜드 뿐만 아니라 맛집추천까지 그 분야는 다양하다. 이를 이용해 자신의 가게나 자신만의 정보를 공유하고 싶은 사람들은 해시태그를 잘 활용하여 해당 게시물의 유입을 높이고자 한다. 컨텐츠 자체의 노출수가 늘어나기에 해시태그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기업에서 해시태그를 통한 이벤트도 진행한다. 이는 소비자들의 손쉬운 참여를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해시태그 검색시 더 많은 게시물 수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해당 브랜드나 기업을 홍보하는 역할도 한다.
6. 위치 ,지역 태그
통계에 따르면, 위치를 추가한 포스트의 경우, 그렇지 않는 포스트에 비해 79% 더 높은 참여도를 보인다. 동일한 지역에 거주하거나 자신이 가고 싶은 지역에 대해서도 지역태그를 통해 검색하여 정보를 얻는다. 실제로 여행 준비를 할 때 많은 사람들이 해시태그와 위치, 지역, 국가 태그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다시 해시태그 및 지역,국가 태그를 통해 자신의 여행정보를 재공유한다.
7. 손쉬운 접근성
지하철을 타면 인스타 그램을 하는 사람들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이를 이용하고 접근성이 쉽다. 기존 페이스북에서 인스타그램을 인수한 후 페이스북 계정이나 타 소셜미디어 계정으로 인스타그램을 이용할 수 있기에 별도의 회원가입없이 더 많은 사람들의 손쉬운 접근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의 더욱 심화된 연동으로 인스타그램에서 작성한 게시물과 스토리를 손쉽게 페이스북에도 동시에 업로드가 가능하다.
8. 인스타그램 스토리
2016년부터 시작된 인스타그램 스토리는 24시간 동안만 유지되고 자동으로 사라지는 컨텐츠를 말한다. 게시물과 달리 사람들은 다양한 이모티콘, GIF와 같은 크리에이티브 요소등을 통해 재미있게 스토리를 꾸민다. 흔히 사람들이 말하는 ‘피드에 박제’ 하기에 애매하거나 자신의 재미있는 순간이나 재미있는 아이디어 등을 공유할 때 주로 이용한다. 피드는 누가 확인했는지 확인이 불가능하지만 스토리는 기록이 남아 피드 확인한 사람들도 확인할 수 있다. 스토리는 설문조사 등을 통해 댓글에 비해 간편하게 소통이 용이하며 스와이프 업 등의 기능을 통해 더욱 편리한 상품 페이지로의 소비자 유도가 가능하다. 또한 스토리 위치태그를 통해 게시물과 동일하게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스토리 노출이 가능하다. 24시간 이내에 사라지기에 아까운 내용이고 사람들이 주로 찾는 내용이라면 하이라이트 등록을 통해 원할 때 까지 영구적 게시가 가능하다.
9. 인스타그램 라이브
인스타그램 라이브는 유튜브의 라이브와 같이 방송으로 이야기하자면 생방송으로 팔로워들과 소통하는 것을 말한다. 방송을 시청하는 사람들은 각종 표정이나 하트나 댓글창을 통해 소통이 가능하다. 사람들과 즉각적인 소통이 가능하기에 인플루엔서들이 공구 등을 진행할 때 즉각적인 궁금증해결하기 등에 이용하거나 연예인들의 팬과의 소통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인스타그램은 별도의 설정 해제를 않은 이상 자신이 팔로우하고 있는 사람이 라이브 방송을 시작하면 전체 알림을 보낸다. 이는 더 많은 사람들의 소통을 가능케하는 역할을 한다.
[출처]
https://www.i-boss.co.kr/ab-6141-21813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87
https://seofactory.co.kr/instastory_marketing/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8A%A4%ED%83%80%EA%B7%B8%EB%9E%A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54449&cid=43667&categoryId=43667
Brand Brief - 브랜드브리프 http://www.brandbrief.co.kr
http://www.openads.co.kr/nTrend/article/6881
https://blog.hootsuite.com/instagram-statistics/
https://www.zdnet.co.kr/view/?no=20190507113254
https://platum.kr/archives/131583
https://www.the-p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06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95606622686048&mediaCodeNo=257
'디지털 마케팅 채널 분석 > 인스타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인스타그램(Instagram)-下편 (0) | 2020.05.05 |
---|---|
#03 인스타그램(Instagram)-中편 (0) |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