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마케팅 채널 분석/페이스북

#04 페이스북-上편

"개방, 변화, 연결, 그리고 세상을 더 가깝게"

 

 

위는 페이스북을 수식하는 키워드들이다. 페이스북은 창립 초에 개방성(Openness)이 두드러졌으며, "Move Fast and Break Things"라는 모토로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는 기업임을 어필했다. 그리고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것을 페이스북의 목적으로 삼았으며, 이제는 그 관계를 더욱 깊게 연결하고자 2017년에 "Bring the world closer together(세상을 더 가깝게)"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창립 이후부터 SNS 시장을 점령하고 있는 페이스북을 간단히 소개하면서 현황과 성장배경, 특징들을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보겠다.

 

 

Ⅰ. 페이스북 소개

 

Face(얼굴)Book()의 합성어인 페이스북은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세계 최대 규모의 SNS이다. 창립자는 하버드 대학교 학생이었던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이다. 그는 룸메이트들과 함께 2004 24The Facebook이라는 이름으로 웹사이트를 개설했는데, 3개월 만에 가입자 수가10만 명으로 늘어나는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저커버그는 2004년 여름방학 동안 IT기업들의 성지 실리콘밸리에서 음악 서비스 창립자 숀 파커와 함께 페이스북을 운영하고, 늘어나는 서버 비용을 감당하려 애를 썼다. 그리고 엑셀 파트너스의 천 만달러 투자로 자금 문제를 해결하고 백만장자가 되었으며, 2010년 타임이 선정한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기도 했다. 저커버그는 정보화 시대에서 가장 영향력 인물들 중 하나로, 마치 애플의 스티브 잡스처럼 페이스북을 통해 연상되는 중요한 아이콘이다.

 

 

가장 막강한 SNS의 그늘

 

SNS 시장에 혜성처럼 나타나 전성기를 누렸던 페이스북은 조금씩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다음과 같은 통계를 통해 아직까진 페이스북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지만, 많은 이들이 페이스북의 이용자 감소 현상을 페이스북의 위기로 인식하고 있다.

 

Hootsuite Oct 22, 2019 By Christina Newberry / 번역: OpenAds

 

 

2018년 이마케터(eMarketer)가 미국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1020대의 젊은 이용자층의 감소가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24세이하 이용자는 2017년에 280만명이 감소했으며 2018년에는 약 210만명이 또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반면 35세이상은300만 명이 증가할 것이며 특히65세 이상의 노년층은100만 명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연령별 추세는 페이스북 사용자가 늙어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12~17세 페이스북 이용자 증가율 추이 / Data by eMarketer, Graph by recode

 

18~24세의 페이스북 이용자 증가율 추이 / Data by eMarketer, Graph by recode

 

이러한 페이스북 이용자의 감소 현상을 언론과 전문가들은 엑소더스(exodus)라고 부른다. 이용자들은 페이스북을 대량으로 이탈하여 주로 페이스북의 자회사인 인스타그램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 현상으로 이용자들의 SNS에 대한 니즈가 무엇인지, 이용자들이 페이스북으로부터 돌아서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디지털 마케터로서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그 요인에는 다양한 경쟁사들의 출현, 개인정보유출 문제, 그리고 지나친 광고 노출 등이 있을 것이다.

 

 

Ⅱ. 페이스북 성장 배경 

페이스북은 처음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진 SNS이다. 처음 하버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매시(FaceMesh)라는 이름으로 이용되었다. 이어 이용자가 800개 이상의 대학들로 확대되고 이후 고등학생, 이후 전 세계로 넓게 이용되었다. 여기에서 안주하지 않고 주커버그는 지속적으로 페이스북의 발전을 이루어내고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SNS로 자리 잡게 하였다. 예시로 주커버그는 그로스팀을 만들어 구글의 검색 결과에 보이게 한다거나 친구 추천 기능을 통해 유저들 사이의 커넥션의 형성을 촉진하는 방법 등으로 페이스북의 성장에 더욱 가속도를 붙였다.

 

 

한국에서 페이스북의 성장

2015년에 페이스북은 국내 SNS 점유율 59.8 %를 기록하였다. 페이스북 초기에 한국을 방문해 싸이월드를 벤치마킹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페이스북 이전에 싸이월드는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싸이월드를 대체하고 페이스북이 성공했는지 알아보자. 그렇다면 싸이월드와 페이스북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일까? 가장 큰 차이는 플랫폼화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페이스북은 플랫폼화가 되면서 기존의 싸이월드가 가지지 못한 이해 관계간의 소통의 장을 만들었다. 플랫폼이 된다는 것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모여서 소통할 수 있는 것을 이야기한다. 이는 단순히 친구들과의 소통을 넘어서는 활동을 페이스북에서 가능케 했다는 것을 뜻한다. 이를 통해 페이스북에는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가 유통되고 더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되었다.

 

 

신한은행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

 

SNS가 디지털 마케팅의 수단으로 본격화되면서 페이스북은 이에 맞춰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페이스북은 기업에서 운영하는 계정 및 페이지를 설정 가능케 하였다. 또한 2006뉴스피드 서비스를 도입했다. 뉴스피드 서비스는 친구들의 활동을 온라인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1년 후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인 API를 공개함으로써 더 많은 기업들을 페이스북 플랫폼에 끌어당겼다. 이를 통해 페이스북은 단순 인맥관리 위주의 수단이 아닌 소셜미디어화를 성공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업들의 페이스북 유입은 더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힘을 실었고 이는 더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를 이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더 많은 사용자들을 끌어당겼다.

 

또한 페이스북의 큰 장점으로 꼽히는 것 중에 하나는 간단한 가입과 간단한 설정이다. 사람들은 기존의 이메일 인증을 통해 손쉬운 가입이 가능했고 이는 도토리로 미니홈피라는 개인적 공간을 꾸미는데 투자하던 싸이월드에 비해 매력적인 요소로 다가왔다. 페이스북은 원하지 않는다면 철저히 개인 정보를 공개할 필요 없지만 만약 개인정보를 공개하게 된다면 이에 맞춰 자신의 관심사와 더 적합한 콘텐츠들을 추천받게 된다.또한 콘텐츠 작성에서 전체 공개가 기본 설정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타인의 정보 등에 손쉬운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는 기존 오프라인 인맥을 기반으로 일촌 맺기를 통해 정보가 공유되던 싸이월드와 반대되는 특징이다.

 

이미지 위주로 콘텐츠가 이루어지는 인스타그램과 달리 페이스북은 이미지, 택스트, 동영상 모두 활발한 콘텐츠의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본인의 특성에 맞는 수단을 선택해 광고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페이스북의 타겟팅 기능을 통해 더욱 정확한 잠재고객 타겟팅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페이스북의 변화는 이용자들 간 과도한 광고 진행으로 인해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페이스북의 큰 성장 동력 중 하나는 페이스북 커넥트라고 할 수 있다. 페이스북을 통해 다른 사이트에도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뿐만 아니라 설정에 따라 인스타그램 등과의 연계를 통해서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페이스북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페이스북은 사람들이 페이스북에서 머무는 시간을 늘리기 위해 콘텐츠뿐만 아니라 다양한 게임을 제공한다. 또한 모바일로 집중되는 이용률을 잘 반영하여 기능 개선에 집중했다. 앱이 없어도 페이지로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앱을 이용하여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케하였다. 또한 페이스북 메시지와 스카이프와 손잡은 영상통화 서비스를 도입해 사람들의 활발한 이용을 끌어냈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페이스북은 다양한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동영상 콘텐츠의 인기에 맞추어 페이스북은 Watch라는 별도의 페이지를 제작했다. 사람들의 요청에 따라 좋아요부터 웃겨요 기뻐요 놀라워요 등 다양한 감정표현을 가능케 하는 등 지속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Ⅲ. 페이스북의 특징

페이스북의 주요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다양한 콘텐츠 형식 지원

 

 동영상, 사진 등의 특정한 콘텐츠만을 위주로 지원하는 타 소셜미디어와 달리 페이스북은 다양한 콘텐츠 형식을 동시에 지원하고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특정 형식 위주보다는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들이 골고루, 익숙하게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사진 위주의 인스타그램과 동영상 위주의 유튜브와 달리 페이스북에서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을 모두 쉽게 접할 수 있는데 텍스트, 사진, 동영상 콘텐츠 각 형식을 개별적으로 업로드할 수도 있지만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제품, 서비스, 장소 등에 대한 사진 및 영상을 제공하여 실제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구체적인 텍스트 설명 및 안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게시물을 업로드 할 때 카드뉴스, 지도 등의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구체적인 참여 방법에 대한 설명은 텍스트를 활용하는 형식이다.

 

 

2. 콘텐츠 노출

 

 이용자가 좋아하거나 관심있는 페이지의 좋아요버튼을 누르면 이용자에게 해당 페이지의 게시물이 자주 노출되고 설정에 따라 상단에 노출된다. 페이지 및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거나 태그 및 댓글을 다는 경우 친구를 맺은 타 이용자의 뉴스피드에 이러한 활동 또한 노출이 되며 해당 페이지 및 게시물이 자연스럽게 함께 노출된다. 페이지에 업로드 한 게시물 또는 공유한 게시물도 친구를 맺은 타 이용자의 뉴스피드에 노출된다. 관심있거나 좋아하는 게시물에 추가적인 코멘트를 덧붙여 공유하면 본인의 페이지 및 페이스북 친구의 뉴스피드에 게시물이 노출되며 콘텐츠 확산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이때 게시물이 뉴스피드에 뜨는 것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에는 특정 게시물 또는 해당 페이지의 게시물 숨기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3. 좋아요 및 공감, 댓글, 공유하기

 

 게시물에 좋아요 또는 공감 버튼을 활용하여 게시물에 대한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좋아요 뿐만 아니라 화나요, 신나요, 슬퍼요 등의 공감 버튼이 있어 게시물에 조금 더 구체적인 반응을 표현하고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댓글 기능을 활용하여 본인의 생각을 직접 나타낼 수 있다. 해당 게시물에 달린 댓글을 통해 게시물에 대한 사람들의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반응을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좋아요 및 공감 기능과 댓글은 게시물에 대한 사람들의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반응을 확인하는 지표가 되며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좋아요 및 공감하기와 댓글 달기 등의 행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고객 타겟팅이 가능하며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잠재고객을 파악할 수 있다.

 

 

4. 비즈니스 계정

 

 페이스북은 비즈니스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계정의 문의하기 버튼을 통해 쉽게 문의가 가능하다. 또한 페이지의 게시글마다 몇 명에게 도달됐는지 도달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떤 게시글을 좋아하는지 사람들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5. 스토리 및 라이브 기능

 

 페이스북은 스토리 기능을 활용하여 사진 및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으며 이는 24시간만 지속이 된다. 스토리는 주로 일상의 소소한 순간, 재미있는 순간 등을 공유할 때 이용하며 페이스북 스토리는 인스타그램과 연동하여 동시에 게시 가능하다. 또한 페이스북에서 생방송을 송출하는 라이브 기능이 가능하다. 스마트폰 또는 PC로 진행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라이브 방송을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라이브 방송을 하는 것보다 PC를 이용했을 때 더 안정적이고 고화질의 방송이 가능하다.

 


 

[출처]

 

'디지털 마케팅 채널 분석 > 페이스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 페이스북-下편  (0) 202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