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카드는 지난 10여 년 간 신용카드 업계에서 역동적인 마케팅을 보여주며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눈부신 성장을 해왔다. 대표적으로 ‘슈퍼’ 시리즈를 통한 문화 마케팅, 이전까진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던 카드의 디자인을 이용한 마케팅,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차별화한 마케팅 등이 있다. 또한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그린카드 마케팅 역시 이에 포함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대카드가 올해 초에 선보인 ‘현대카드 DIGITAL LOVER’ 마케팅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다.
두번째 사례 : 'DIGITAL LOVER' 마케팅
1. 2030대 디지털 네이티브 겨냥
디지털 러버는 그린카드 마케팅에 이어서 디지털 네이티브라 불리는 2030 세대를 겨냥한 마케팅이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는 점점 성장하는 디지털 시장의 핵심 소비층이면서 재미있는 콘텐츠를 빠르게 자발적으로 확산시킬 잠재력이 있기 때문에 바이럴 효과가 큰 고객 집단이다. 현대카드는 이런 2030 세대의 특성과 라이프스타일을 신규 상품에 반영했다.
바로 언택트(Untact) 소비 경향으로, 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소비자들은 타인과 대면하여 교류하는 걸 꺼리고 오프라인 매장보단 온라인 매장 혹은 키오스크 등을 통한 소비를 더 편하게 여기는 태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현대카드는 이런 2030 세대가 타인의 방해 없이 자신의 세계에 집중할 수 있도록 DIGITAL LOVER를 통해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3가지 층, 즉 3F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1F는 상품의 기본 혜택을 제공하며, 주요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인 유튜브 프리미엄, 넷플릭스, 멜론, 지니 중 1개 서비스를 선택해 매월 최고 1만 원의 이용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다. 또한 간편결제 서비스(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SSG페이, 스마일페이, 쿠페이)를 이용할 경우 결제금액의 5%를 매월 1만 원까지 할인 받을 수 있다. 이에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할인과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무료입장 등 기존의 현대카드의 컬처 프로젝트 이용에도 혜택을 받는다.
2F와 3F는 1F 카드를 소지한 회원이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층이다. 2F에서는 회원들이 쇼핑, 플레이, 디지털 3가지 패키지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해 유료로 구독하며 패키지 관련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3F에서는 회원 별 소비 성향을 분석해 각 회원에게 최적화된 혜택을 추천하고 회원은 추천받은 혜택 중 자신이 원하는 것을 골라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2. 캠페인 진행
캠페인은 ‘광활한 우주를 홀로 여행하는 여행자가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다’는 컨셉으로 진행되었다. ‘외롭지만, 외롭지 않은’이라는 슬로건으로 언택트한 디지털 네이티브 고객들을 디지털 러버라고 새롭게 정의하며 각자의 우주를 응원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먼저 캠페인 모델을 가수 ‘크러쉬’로 앞세워서, 크러쉬가 직접 작곡, 작사한 ‘Digital Lover’ 음원과 뮤직비디오를 국내 주요 음원사이트들과 유튜브, 페이스북 등에 공개했다. 이 뮤직비디오는 공개 4일 만에 유튜브 조회 수 68만 회를 돌파했다. 이후 제시, 그레이, 강민경 세 명의 뮤지션들이 추가로 참여하여 크러쉬의 ‘Digital Lover’ 음원을 재해석해 각자의 공간에서 ‘방콕라이브’를 진행하도록 했다.
음원 발매와 동시에 4가지의 카드 디자인 공개하여 고객들이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카드의 이름은 각각 ‘부식된 우주선 표면(Jean Crush)’, ‘우주선 속 오래된 로봇(Rusty Robot)’, ‘행성의 폭발(Star Bomb)’, ‘우주선 카드 키(Foggy Planet)’이다.
3. SNS 이벤트 소비자 참여
또한 인스타그램에서 챌린지를 진행하여 카드를 발급받은 고객들이 자신의 집에서 어떻게 ‘외로움을 즐기고 있는지’ 카드와 함께 찍은 인증샷을 올리도록 했다. #디지털러버챌린지, #현대카드 두 가지 해시태그와 카드 사진을 필수로 올리되, 나머지는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했다. 약 한 달간 진행한 결과 참여 게시글은 100여 개였으며 참여자들에게 추첨을 통해 상품을 전달했다.
이런 현대카드의 디지털 네이티브를 겨냥하여 고객들의 특성과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마케팅은 언택트 소비자들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해야 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에게 온라인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게 한 시기적절한 마케팅이었다.
[출처]
'디지털 마케팅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현대카드-그린카드 마케팅 (0) | 2020.06.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