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마케팅 채널 분석

#01 디지털 마케팅이란?

 

 

디지털 마케팅이란?

기존 마케팅 활동에서 장애요인으로 작용했던 시간·공간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기업과 고객이 상호 연결되어 가치를 만들어 가는 통합형 네트워크 마케팅을 말한다 (출처: 매일경제)

하지만, 각 업계에 따라 이야기하는 디지털 마케팅엔 차이가 있다. PR 기업과 광고대행사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매체 측면을, IT 기반의 기업들은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마케팅을 설명한다. 반면 컨설팅업계에선 디지털 기술 기반의 디지털 마케팅을 디지털 마케팅이라 정의 내린다.

 

포괄적으로 "디지털 매체를 이용해 기업과 고객이 상호작용하는 마케팅" 으로 정의 내리겠다.

 

 

 

디지털 마케팅의 종류

 

디지털 마케팅에는 PULL유형과 PUSH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해하기 쉽게 예시로 알아보자.

 

먼저 PULL 유형은 유인형으로서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유튜브에 검색하고 인플루엔서들이 작성한 후기를 예시로 볼 수 있다.

반면에 PUSH유형은 강요형으로서 메일이나 문자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수신자의 동의 없이 보낸 스팸메일이나 문자가 여기에 속한다.

 

그렇다면 디지털 마케팅이 왜 필요할까?

 

정보화 사회가 됨에 따라 사람들이 정보를 얻고 활용하는 경로가 더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그래서 기존의 마케팅 방식으로는 고객과 기업의 니즈 둘다 충족시키기가 어려워졌다.

기업은 정보를 더더욱 쉽게 알려주고 친숙하게 다가가고

소비자는 원하는 정보를 더 자세히 그리고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디지털 마케팅은 양방향적으로 소통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특징이 있으며, 그 중심에는 인플루언서들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인플루언서란 ‘영향을 주다’는 뜻의 단어 ‘influence’에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er’을 붙인 것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을 뜻하며, 포털사이트에서 영향력이 큰 블로그(blog)를 운영하는 ‘파워블로거’나 수십만 명의 팔로워 수를 가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용자, 혹은 1인 방송 진행자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인스타그램에서는 해시태그를 이용해 관련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접하고, 유투브에서는 동영상을 통한 꼼꼼한 리뷰와 일상 속 자연스러운 노출로 홍보효과를 가진다.

특히, 라이브방송 같은 경우에는 즉각적인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입장에서 상품에 대한 궁금증 해소 및 세부적인 정보를 취득이 가능하다.

 

 

디지털 마케팅의 대표적 사례

 

1. 26만 유튜브 구독자! 52만 인스타그램 팔로워! 비글부부

 

 

 

실제 육아 현장을 공유하면서 유아용품을 자연스럽게 홍보한다. 최근에는 육아를 하는 부모에게 좋은 영양제나 화장품까지 홍보의 영역을 넓혔다. 비글부부의 솔직하고 선한 모습이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주었고 점차 인지도를 높여가고있다. 현재는 상품의 홍보와 관련이 없는 일상을 나누는 영상들도 크게 화제가 되고 있다.

 

 

비글부부의 인스타그램 홍보 및 이벤트 진행 게시글. 제품의 상세한 설명은 물론 해쉬태그로 상품명을 표현해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였다.

 

 

 

'비글부부'의 유투브 영상들.

 

 


2.121만 유튜브 구독자! 143만 인스타그램 팔로워! 회사원 A

 

유투브 채널에서는 솔직하게 화장품을 소개하고 소비자들이 원하는 다양한 경험을 대신 해주며 구독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한다. 소비자들이 쉽게 접할 수 없었던 고가의 서비스나 상품들에 관한 후기로 더욱 유명해졌다.

 

 

회사원 A의 인스타그램 계정.

 

 

 

 

회사원 A의 인스타그램 홍보 및 이벤트 진행 예시. 해쉬태그는 물론 유투브로 유도하는 게시글을 작성해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였다.

 

 

 

'회사원A'의 유투브 영상들.

 

 

 

디지털 마케팅의 플랫폼, SNS

 

디지털 마케팅의 양뱡향성은 기업에게도, 소비자에게도 아주 중요하다. 디지털 이전의 마케팅에서는 어려웠던 소비자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특히 다양한 디지털 마케팅의 플랫폼 중에서 소통 능력이 뛰어난 SNS에 주목하고 있으며, 수동적이든 능동적이든 소비자의 행동이 수반될 때의 마케팅을 인터랙티브(interactive) 마케팅이라 한다. SNS는 여러 사이트에 ‘배너’의 형식으로 상품 및 서비스를 홍보하는 방법과 달리, 댓글과 '좋아요', 지인 태그 등의 기능을 통해 소비자가 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소비자는 인플루언서를 ‘팔로우’ 혹은 ‘구독’하면서 상품을 빠르게 인지하고,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게 되었다. 그들은 상품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상품을 인지함과 동시에 구매하거나 브랜드를 옹호하게 되기도 한다.

 

 

롤랜드 홀의 AIDMA와 덴쓰 사의 AIDMA 구매 의사결정 과정 모델

 

 

1920년대 미국의 경제학자 롤랜드 홀의 ‘AIDMA 모델’에 따르면, 기존의 소비자는 ‘주의-흥미-각인-욕구-구매’ 단계를 거쳐서 상품을 구매했다. 하지만 기술환경의 발전과 SNS의 등장으로 상품에 대한 소통이 증가했고, 이는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변화를 주었다. 2004년 일본의 광고대행사 덴쓰(Dents)는 AIDMA 모델에 욕구 대신 ‘검색’ 단계와 ‘공유’ 단계를 추가한 AISAS 모델을 개발했으며, 2011년 구글은 ZMOT(Zero Moment of Truth)라는 개념을 통해 “소비자들은 간접경험을 통해 매장을 방문하기 전 이미 구매 의사결정을 마친다”고 밝혔다.

 

이처럼 현대 디지털 마케팅의 플랫폼 역할을 하는 SNS는 중요하며, 우리는 다음 포스팅부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등을 하나씩 알아볼 계획이다.

 

 

 

 

와이즈앱 '2018년 4월 한국 안드로이드 분석'

 

 

그 중에서도 유튜브는 사용자가 쉽게 영상을 시청 및 업로드 할 수 있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이다. 디지털 마케팅의 매체 중 하나인 동영상을 통한 마케팅을 활발히 하고 있다. 쉬운 접근성과 다양한 영상 등의 이유로 사용자들은 많은 시간을 유튜브에 사용하고 있으며 단순한 영상 시청 뿐만 아니라 검색 채널로의 활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유튜브'라는 채널에서 어떤 방식으로 디지털 마케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사례와 이에 따른 효과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출처 및 참고자료

 

이무신. 『마케팅 하지 않는 마케터』. 라온북.  2018. 72.p, 82.p, 99.p.

김대진, 박다인, 박종석.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한 마케팅 전략 변화에 대한 연구 』. 한국경영학회. Korea business review. 제22권 제 2호. 2018년 5월. pp.177-194.

인플루언서 마케팅.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2017년 11월.